티스토리 뷰
쉽게 넘어가면 안 되는 번아웃 증후군의 원인
한자어로 소진이라고 합니다. 어떤 직무를 맡는 도중 극심한 육체적/정신적 피로를 느끼고 직무에서 오는 열정과 성취감을 잃어버리는 증상의 통칭이며 정신적 탈진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 정신건강센터에서 일하는 치료자들이 느끼는 탈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게 용어의 시초입니다. 여기서 볼 수 있듯 시작은 클라이언트를 상대해야 하는 간호사, 사회복지사, 변호사등의 감정노동자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한 단어이지만,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직장인이 흔히 느낄 수 있는 업무능력 및 열정의 약화를 설명하는 신조어의 형태로 사용되는 중입니다. 연구자들은 번아웃이 '해당 직무가 개인과 사회의 기대 수준을 충족하지 못할 때' 일어나는 것이라 봅니다. 자신이 원하고 원해 왔던 해당 직무를 수행하지 못해 성취감을 얻지 못해 이상을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부정적인 실패의 경험이 해당 직무를 수행하며 얻을 수 있는 성취를 초월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것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예를 들어보자면, 사회적 약자의 삶을 책임진다는 사명감과 이에 따른 성취감을 '개인이 직무에 기대할 수 있는 성취감'이라 하면, 지원이 끊긴 클라이언트들의 분노를 한 몸에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든지, 교육 과정에서 학습된 약자에 대한 인식과 다른 부분을 보았다든지, 혹은 돌봄이라는 업무에서 경험할 수 있는 더럽거나 징그러울 수 있는 경험 등이 쌓이고 쌓여 얽힌 스트레스를 기대에 반하는 부정적 경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일 후자의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그것이 전자의 감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다면 정신적으로 탈진하게 되고, 전술한 번아웃 증후군의 진행이 가속화된다는 것이다.
번아웃 증후군이 발생 시 일어나는 증상들
번아웃 증후군 즉 소진의 진행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 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소진에 빠진 한 사원의 시선을 가정하고 이에 따라 서술해 봅니다. 첫 번째 열성입니다. 번듯한 직장에 취직했습니다. 정말로 하고 싶었던 일이니만큼 열정이 넘칩니다.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있으며 어려운 직무라도 스스럼없이 맡아내고, 자주 있는 야근이나 주말 출근도 자발적으로 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보람과 성취감은 삶의 낙이요 전부입니다. 그다음은 침체입니다. 슬슬 부침이 옵니다. 업무수행 자체는 무리 없이 해내지만 처음 입사할 적 느꼈던 흥미는 점점 떨어져 갑니다. 슬슬 직무에서 오는 보람은 뒷전이 되고 자신을 둘러싼 근무환경을 챙기기 시작하며 보수, 근무시간, 업무환경은 이 직무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챙겨야 하는 요소로 승격이 됩니다. 그 후 좌절입니다. 오랫동안 근무하며 수많은 실패와 좌절을 맛보았습니다. 이 직장 역사에 한 획을 긋겠다는 포부는 사라진 지 오래고, 당장의 인사고과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벅찹니다. 자신의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의심이 생기고, 동시에 자신의 직무가 가지는 가치에 대한 회의감이 들며 업무의 무가치함을 맛보는 순간 직면한 업무에 대한 회피의 감정이 솟구칩니다. 삭신이 멀쩡한 곳이 없습니다. 이어지는 무관심입니다. 스트레스는 이미 극한에 다다랐고, 업무는 여전히 벅찹니다. 흥미가 없는 일을 하려니 커진 스트레스는 가뜩이나 실패투성이인 자신의 직무인생에 더 많은 실패를 가져다줍니다. 확 때려치우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지만 당장의 벌이가 없다면 절대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최후의 수단으로 기권을 선택한다. 직무에 대한 모든 감정선을 차단한 채 묵묵히 버텨내기를 시작하지만 여전히 목을 죄는 스트레스는 버티기 힘이 듭니다. 더 이상 직장에서 감정적인 안식처를 찾지 못하고 방황합니다. 결국 슬금슬금 퇴사나 이직 방법을 강구하기 시작합니다.
치열한 일상 속의 마음의 병을 대처하는 해결방안
스트레스가 생리적 수준의 반응이라는 점에서 건강심리학자들은 번아웃에 대해서 신체적 자원의 소진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 관점은 과학적인 스트레스연구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인 한스 셀리에의 일반적 적응 증후군을 연장한 것으로 우리의 몸이 어떤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자원을 쏟아부으면서 버텨낸다는 점을 골자로 합니다. 물론 얼마 동안은 잘 버틸 수 있고 심지어 수행 수준(생산성)도 좀 더 높을 수 있겠지만 제한된 자원은 언젠가는 바닥나는 법입니다. 결국 제살 깎아먹기 식으로 버티던 인간은 끝없이 이어지는 스트레스 상황 앞에서 항복해버리고 말아 버립니다. 수행 수준은 크게 감소하게 되고 하얗게 불태운 개인은 무기력한 탈진 즉 몸과 마음이 지칠 대로 지치는 단계에 접어듭니다. 번아웃이 시작된 것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이 왔다는 느낌이 든다면 잠깐 그동안 하던 일을 멈추고 운동을 하거나 글을 쓰거나 재정적 한도 내에서 쇼핑을 하거나 혼밥을 즐기는 것과 같은 취미생활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일과 휴식을 분리합니다. 일은 회사에서만 하고 집까지 가져오면 안 됩니다. 일과 휴식만 분리하더라도 번아웃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취미생활을 갖거나 운동을 합니다. 피곤하더라도 꾸준한 운동과 나만의 취미생활을 갖는 게 좋습니다. 땀을 흘리거나 다른 일에 몰두를 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삶의 활력이 높아지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 점심시간 산책하기도 좋습니다. 점심 식사 후 10분 만이라도 혼자서 산책하며 잠깐이라도 머리를 비우시길 바랍니다.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부정적인 생각을 잊게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큰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를 달성해 봅니다. 작은 과정들이 모여 큰 목표를 이루게 되지만 과정에 대한 성취감을 얻는 게 중요합니다. 작은 과정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봅니다.